2025년 부동산, 정말 괜찮을까? 전문가들의 경고와 투자 전략(feat. 표영호TV, 리치고 김기원대표)
#강남 집값, 거품 터지나?
# 2025 강남 부동산 위기 징후?
"강남에 집 한 채만 있으면 좋겠다." 라고 생각해본 적 있으신가요?
특히 최근 토허제 해제 이후 강남 불패를 넘어 강남 신화의 역사를 써갔던 터라 더더욱 남의 세상이 되어버렸었는데요.
저도 부동산에 관심을 갖고 내집마련과 투자를 병행하기 위해 시장을 둘러보던 중
오늘은 유튜브 표영호TV 채널에서 방송 한 2025년 부동산 전망에 대해 포스팅해보았어요.
(저는 부동산 하락론자도 상승론자도 아닙니다. 제 재산과 안전한 주거 마련을 위해 끊임없이 시장을 살펴보고 양쪽의 의견을 모두 들으며 공부하는 중이니 오해말아주세요 :))
2025년 강남 부동산, 정말 괜찮을까?
표영호TV에 출연하신 리치고 김기원 대표님의 의견을 정리해볼게요.
김기원대표님은 지금 부동산에 위험 신호가 감지되고 있다고 경고하고 있더라고요.
특히 지금이 2008년 금융위기와 비슷한 패턴이 나타날 수 있다는 분석도 하시는데, 그렇게 분석하는 이유는 아래와 같아요.
미국 주식 시장과 코인 시장이 흔들리면서
강남 부동산을 든든하게 받쳐주던
신흥 부자들의 힘이 약해졌다.
예전엔 코인이나 주식으로 대박 난 사람들이 강남 초고가 아파트를 싹쓸이하다시피 했잖아요?
그런데 지금은 미국 주식 시장과 코인 시장이 불안정해지면서 상황이 좀 달라졌다고해요.
이들이 현금 확보를 위해 주식을 매도하면서 시장 전반에 변동성이 커지고 있고, 강남 부동산 수요도 둔화되는 조짐이 보인다는 분석입니다.
2008년 금융위기의 데자뷰? 그때와 지금, 무엇이 같고 무엇이 다를까?
- 공통점 : 한쪽 자산군(주식, 코인)에 자산 쏠림 현상, 자산 쏠림이 부동산으로 이동
- 차이점 : 2008년 당시엔 금리가 빠르게 낮아졌지만, 지금은 금리 인상 가능성 존재하며, 정책 변수가 가장 큰 변수
2008년 금융위기 당시 중국 펀드와 부동산에 돈이 많이 몰렸다가 금융위기가 터지면서 많은 사람들이 큰 손해를 봤었는데, 지금도 미국 주식과 코인에 많은 돈이 몰렸다가 시장이 불안해지면서 비슷한 일이 생길 수 있다는 거죠.
2008년과 다른점은 08년 금융위기 당시에는 금리를 낮췄지만, 지금은 금리 인상가능성이 아직 남아있고, 지금은 아직 대선이 남아있기 때문에 대선 이후 부동산 정책이 어떻게 바뀔지도 중요한 변수가 될 것이라 보고있어요.
부동산, 지금이라도 팔아야 할까?
매수보다 매도 우위인 시장 분위기 속에서 성급한 결정은 금물입니다.
영상에서는 그 부분은 신중하게 결정해야한다고 조언하는데요.
이 부분은 저도 동의하고, 모두가 이론적으로는 알고있지만 실행하기엔 매우 어려운 부분이죠.
매수는 기술이고 매도는 예술이라는 말이 딱 맞는 말 같아요..
괜히 성급하게 팔았다가는 손해를 볼 수도 있고, 너무 늦게 팔면 더 큰 손실을 볼 수도 있으니까요.
중요한 건 데이터를 꼼꼼히 분석하고, 시장 상황을 냉정하게 판단해서 본인의 투자 목표와 감당할 수 있는 위험 정도에 맞춰서 결정하시길 바랍니다.
2025년 강남 부동산 투자, 이렇게 접근하자!
- 데이터 분석 필수 : 거래량, 실거래가, 입주 물량, 수요 흐름 등 지표를 꾸준히 분석
- 분산 투자 : 부동산 외에도 주식, 채권, 금 등에 자산 분산 투자하여 리스크 관리
- 장기 전략 : 단타 수익보다는 장기적인 시야로 접근
강남 부동산은 여전히 상징적인 자산임은 분명하고, 앞으로 남은 25년의 부동산 시장은 어떻게 변화 할 지 아무도 모르죠.
다만 이번 표영호TV 의 영상 내용을 요약해 본 이유는 다양한 시각으로 시장을 바라볼 필요가 있다고 느껴서에요.
부동산 뿐만 아니라 다른 투자도 마찬가지겠죠?
과거의 성공 경험이 앞으로도 반복되리란 보장이 없고, 과거의 실패 경험 역시 반복되리란 보장이 없기에 전략적으로 접근하고 꾸준히 시장을 분석하는 자세가 내 재산을 지키는 방법이라 생각해봅니다 !
'재테크 >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서울 수도권 청약 70% 감소! 내집마련 어떻게해야할까? (0) | 2025.04.23 |
---|---|
신축 분양 아파트 유상 옵션 비용, 개별시공 진행과 비교 장단점 (1) | 2025.02.19 |
전세사기가 불러 올 나비효과? 전세 소멸, 월세 급등 (1) | 2024.12.19 |
오피스텔 대출 갈아타기 성공 후기, 대환대출 금리, 대출금리 인하 % (2) | 2024.10.26 |
일시적 1가구 2주택 취득세, 양도세, 비과세 (1) | 2024.10.24 |
댓글